자본주의 4

[유튜브 리뷰]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정부 VS 시장 EBS 다큐프라임 시대탐구 대기획 5부작 자본주의 마지막 화이다. 시리즈를 마무리하는 내용으로서 우리가 어디로 향해야 하는지 말한다. 거시경제학의 아버지 케인즈와 신자유주의 아버지 하이에크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거시경제학의 아버지, 케인즈 케인즈는 아담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을 반박한 인물이다. 국가의 역할을 강조했으며, 정부가 높은 고용률을 유지하며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미국의 대공항 시기에 받아들여졌으며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으로 높은 고용과 실업률 감소로 경제 위기를 돌파한 사례가 있다. 케인즈의 생각은 구매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국가가 일자리를 만들어 돈을 쥐어주게 되면, 구매력이 증가하고 경기가 되살아난다는 생각이었다. 경제는 가계, 기업, 정부..

부자노트 2021.12.21

[유튜브 리뷰]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위대한 철학의 시작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다.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가 아담 스미스와 칼 마르크스에 대해 이야기한 에피소드이다. 현대 경제 시스템을 이들이 주장한 사상과 철학으로 설명되기 때문에 우리는 이 이야기에 주목해야 한다. 아담 스미스, 경제학의 아버지 아담 스미스는 글래스고 대락에서 도덕철학 교수로 지냈다. 인간을 관찰하고 분석한 연구를 바탕으로 '도덕감정론'을 썼다. '도덕감정론'에서는 인간은 이기적이나 사회적 존재로 도덕적 행동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렇게 행동할 수 있게 하는 건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공정한 관찰자'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인류가 축적한 경험을 통해 공명정 대한 관찰자를 세울 수 있고, 도덕적 적성성을 판단하고 승인한다고 말했다. 아담 스미스를 대표하는..

부자노트 2021.12.16

[유튜브 리뷰]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금융지능은 있는가? 이번 화에서는 은행, 펀드, 보험 3가지 금융 서비스에 대해 이야기하고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 시청자에게 질문을 던진다. 그 과정을 통해 우리가 가진 금융 지능을 점검한다. 은행, 이웃이 아니다. 티비 광고를 보면 은행은 우리의 이웃, 항상 가까운 곳에서 우릴 응원한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과연 은행은 내편일까? 은행이 본격적으로 금융 업계에 두각을 나타낸 것은 금융 지주회 사업 법이 통과가 되면서부터이다. 금융 회사가 투자회사로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된 것이다. 은행은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이다. 우리는 은행에서 추천하는 상품이 나를 위한 딱 맞는 상품이라 생각하지만, 실상은 단순히 은행의 이익을 위해 프로모션하고 있는 상품일 수 도 있다. 그리고 은행원은 실적을 위해 ..

부자노트 2021.12.11

[유튜브 리뷰]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1부 돈은 빚이다.

돈은 빛이다. 7년 전 EBS에서 방영한 다큐프라임에서 다룬 시대탐구 대기획 5부작인 '자본주의' 다큐멘터리 영상을 봤다. 여전히 우리는 자본주의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유효한 내용들이다. 시리즈를 영상으로 살펴보고 요약하려 한다. 경제의 시작은 경세제민 경세제민 : 세상을 잘 다스려 백성을 구한다. 국정이 혼란하지 않고 민생이 편안한 상태. 경제 :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용역)을 생산ㆍ분배ㆍ소비하는 모든 활동. 또는 그것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 이번 EBS 다큐프라임을 통해 경제의 어원이 경세제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상을 잘 다스리는 방법이. 경제를 잘 경영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돈은 누가 만들어 내는가? 돈은 중앙은행이 만들어 낸다. 흔히 떠올리는 조폐공사는 돈을 찍어내..

부자노트 2021.12.05